미용전공이론 공중보건학의 개념 총 정리
1. 공중보건학의 정의
1-1. 위생학
1-2. 예방의학
2. 공중보건학의 범위
3. 공중보건 수준 평가
3-1. 평균수명
3-2. 보통 사망률
3-3. 비례 사망 지수
3-4. 공중보건의 당면과제
1. 공중보건학의 정의
공중보건학은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의 차이는 있지만 미국 예일대학교의 윈슬로 교수(Charles~Edward Amory Winslow, 1920년)의 아래와 같은 정의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공중보건학이란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환경위생 향상, 감염병의 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진단을 위한 의료와 간호서비스의 조직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유지에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받도록 사회제도를 발전시킴으로써 건강과 장수라는 생득권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공중보건학은 의학, 위생 공학, 질병 관리학 및 보건관리학 등을 지역사회에 응용하는 학문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들을 지역주민의 건강에 적합하도록 합리화하여 궁극적으로 건강과 장수의 생득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포괄 보건의료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공중보건학과 관련된 학문에는 위생학, 공중위생학, 예방의학, 사회의학, 지역사회의학, 지역사회 보건학, 건설 의학, 의료사회학 등이 있다.
1-1. 위생학
위생학은 실험 위생학의 이념에 입각하여 개인과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과학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개인의 건강문제가 개인에게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체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공중위생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연구 분야에 공중위생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위생학은 좁은 의미로 환경위생학을 말하며, 넓게는 공중위생학을 의미한다.
1-2. 예방의학
예방의학은 질병예방을 꾀할 목적으로 하며 치료의학에 대응되는 말로 질병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문적 기초 위에 연구를 하는 것이다.
반면, 공중보건학은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려는데 주안점을 두며, 현실적 사회현상에 따른 건강증진 저해요소에 대한 집단적 활동이 그 연구 대상이 된다. 예방의학은 기초이론과학인데 반하여 공중보건학은 응용 실천 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중보건학의 범위
공중보건학은 치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두고 현재의 건강상태를 보다 더 건강하게 한다는 것으로서 최고 수준의 건강을 목표로 한 의학의 사회화이며 의학의 적극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경제적 발전과 함께 질병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더 많은 범위가 추가되며 확대되어 가고 있는 상태이다.
- 환경보건 분야: 환경위생, 환경오염, 식품위생, 산업보건 등
- 질병관리 분야: 역학, 감염병 관리, 기생충 질환, 비감염성 질환 관리 등
- 보건관리 분야: 보건교육, 보건행정, 보건통계, 보건 영양, 정신보건, 모자보건, 학교보건 등
3. 공중보건 수준 평가
한 국가의 보건 수준이란 한 시점 또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인구를 구성하는 개인들의 집합인 전체의 사람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집단에 대하여 보건에 관련된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건강지표·보건지표·보건지수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세계 보건기구(WHO)는 한 나라의 건강 수준을 측정해서 제시하면서 다른 나라와 비교가 가능한 종합적인 건강지표로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3-1. 평균수명
평균수명은 생명표 상의 출생 시 평균여명을 의미하며, 생명표란 일정한 시기에 출생한 인구가 사망 질서에 따라 어떻게 감소하는 가를 표시한 것으로 생존수, 사망수, 생존율, 정지 인구, 평균여명과 같은 함수를 기초로 이루어져 있다. 0세의 기대 평균여명은 인구의 시대에 따른 평균 생존 가능 연수를 표시하므로 보통 평균 수명이라고도 한다.
3-2. 보통 사망률
보통 사망률은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 수로 표시하는 비율로서 조사망률이라고도 한다.
- 보통사망률 = 연간 총 사망자수 / 연간 인구 x 1,000
3-3. 비례 사망 지수
비례 사망 지수란 연간 전체 사망자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자수의 구성비율로서 평균수명이나 보통사망률의 보정지표가 된다. 비례사망지수가 낮은 것은 높은 영아사망률과 낮은 평균수명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건강수준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수치가 높을수록 전체사망자 중에서 고령자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보건수준이 높음을 반영한다.
- 비례사망지수 = 50세 이상의 사망자수 / 총 사망자수 x 100
영아사망률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서 영아란 출생 후 1년 미만의 아이를 말하며, 영아기는 성인에 비해 환경 악화나 비위생적 생활환경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받는 기간이기 때문에 영아사망률의 차이로 그 나라의 문화 수준 및 위생, 보건 상태를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영아사망률 = 연간 영아 사망수 / 연간 출생아수 x 1,000
3-4. 공중보건의 당면과제
21세기 공중보건의 과제는 국민의 건강생활을 확보하기 위한 건강 유지 증진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해 가기 위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 무의지역의 해소와 의학적 보호의 편중 문제 해소
- AIDS나 유행성 간염 같은 특수질병 예방 및 신종질병 관리
-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과 사회안전망 구축
- 공해 질병이나 직업병
-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보건 정보망 구축
- 국민건강생활기반 구축,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 급속한 고령화 문제와 낮은 출산력 문제 등
'미용전공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중보건학] #3 건강 증진 (0) | 2021.05.12 |
---|---|
[공중보건학] #2 건강과 질병 (0) | 2021.05.11 |
[미용전공이론] 메디컬 약물의 특성과 작용 (0) | 2021.05.02 |
[미용전공이론]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0) | 2021.05.01 |
[미용전공이론] 피부 레이저 기기 총 정리 (0) |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