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자격증이론/공통이론

[미용 공통이론 요점정리] #3 공중보건학I

썸네일
공중보건학

[ 공중보건학 1 ] ★미용자격증(메이크업, 네일, 피부, 헤어) 공통출제

목차
1. 공중보건학

 1-1. 공중보건학의 개념
 1-2. 건강과 질병
 1-3. 인구보건 및 보건지표
2. 질병관리
 2-1. 역학 및 감염병 발생의 단계
 2-2. 병원체 및 병원소
 2-3. 면역 및 주요 감염병의 접종 시기
 2-4. 검역
 2-5. 법정감염병의 분류
 2-6. 주요 감염병의 특징
 2-7. 감염병의 신고 및 보고
 2-8. 기생충 질환 관리
3. 보건 일반
 3-1. 정신보건 및 가족 노인보건
 3-2. 환경보건
 3-3. 산업보건
4. 식품위생과 영양
 4-1. 식품위생의 개념
 4-2. 식중독
 4-3. 영양소

1. 공중보건학 

1-1. 공중보건학의 개념

  • 윈슬로우의 정의
    공중보건학이란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신체적,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대상
    지역사회 전체 주민
  • 공중보건사업의 최소 단위
    지역사회
  • 공중보건의 3대 요소
    수면연장, 감염병 예방, 건강과 능률의 향상
  • 공중보건학 = 지역사회의학
  • 공중보건학의 목적
    질병예방, 수명 연장,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 접근 방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개인이나 일부 전문가의 노력에 의해 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지역사회 전체의 노력으로 달성될 수 있다
  • 공중보건학의 범위
    - 환경보건 분야: 환경위생, 식품위생, 환경오염, 산업보건
    - 역학 및 질병 관리 분야: 역학, 감염병 관리, 기생충 질환 관리, 비감염성 질환 관리
    - 보건관리 분야: 보건행정, 보건교육, 보건 영양, 인구보건, 모자보건, 가족보건, 노인보건, 의료정보, 응급의료, 사회보장제도
  • 공중보건학의 방법
    환경위생, 감염병 관리, 개인위생

1-2. 건강과 질병

  • 세계 보건기구(WHO)의 건강의 정의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를 의미한다.
  • 질병 발생의 3가지 요인
    * 숙주적 요인
     - 생물학적 요인: 선천적 요인(성별, 연령, 유전 등), 후천적 요인(영양상태)
     -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직업, 거주환경, 작업환경), 생활양식(흡연, 음주, 운동)

    * 병인적 요인
     - 생물학적 병인: 세균, 곰팡이, 기생충, 바이러스 등
     - 물리적 병인: 열, 햇빛, 온도 등
     - 화학적 병인: 농약, 화학약품 등
     - 정신적 병인: 스트레스, 노이로제 등

    * 환경적 요인
     - 기상, 계절, 매개물, 사회환경, 경제적 수준 등

 

1-3. 인구보건 및 보건지표

  • 인구의 구성 형태
    - 피라미드형(후진국형, 인구증가형): 출생률은 높고 사망률은 낮은 형
    - 종형(이상형, 인구 정지형): 출생률과 사망률이 낮은 형
    - 항아리형(선진국형, 인구감소형): 평균수명이 높고 인구가 감퇴하는 형
    - 별형(도시형, 인구유입형): 생산층 인구가 증가되는 형
    - 기타형(농촌형): 생산층 인구가 감소하는 형
  • 인구증가
    - 인구증가=자연증가+사회증가
    - 자연증가=출생인구-사망인구
    - 사회증가=전입인구-전출인구
  • 보건지표
    * 인구통계
     - 조출생률: 1년간의 총 출생아수를 당해연도의 총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 분비로 나타낸 것
     - 일반 출생률: 15~49세의 가임여성 1,000명당 출생률

    * 사망통계
     -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1년 동안의 사망자 수
     - 영아사망률: 한 국가의 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생후 1년 안에 사망한 영아의 사망률
     - 신생아 사망률: 생후 28일 미만의 유아의 사망률
     - 비례 사망 지수: 한 국가의 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총 사망자 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자 수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수

 

2. 질병관리 

2-1. 역학 및 감염병 발생의 단계

  • 역학의 역할
    - 질병의 원인 규명
    - 질병의 발생과 유행 감시
    - 지역사회의 질병 규모 파악
    - 질병의 예후 파악
    - 질병관리방법의 효과에 대한 평가
    - 보건정책 수립의 기초 마련
  • 감염병 발생의 단계
    병원체-> 병원소->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전파-> 새로운 숙주로의 침입-> 감수성 있는 숙주의 감염

 

2-2. 병원체 및 병원소

  • 병원체: 숙주에 기생하면서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 세균
     - 호흡기계: 결핵, 디프테리아, 백일해, 나병, 폐렴, 성홍열, 수막구균성수막염
     - 소화기계: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파상열
     - 피부점막계: 파상풍, 페스트, 매독, 임질

    * 바이러스
     - 호흡기계: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인플루엔자, 두창
     - 소화기계: 폴리오, 유행성 간염, 소아마비, 브루셀라증
     - 피부점막계: 에이즈, 일본뇌염, 공수병, 트라코마, 황열

    * 리케차: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병, 록키산 홍반열 등

    * 수인성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이질, 소아마비, A형 간염 등

    * 기생충: 말라리아, 사상충, 아메바성 이질, 회충증, 간흡충증, 폐흡충증, 유구조충증, 무구조충증 등

    * 진균: 백선, 칸디다증 등

    * 클라미디아: 앵무새병, 트라코마 등

    * 곰팡이: 캔디디아시스, 스포로티코시스 등
  • 병원소: 다른 숙주에 전파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저장되는 전염원
    - 인간 병원소: 환자, 보균자 등
    - 동물 병원소: 개, 소, 말, 돼지 등
    - 토양 병원소: 파상풍, 오염된 토양 등
보균자

건강 보균자: 병원체를 보유하고 있으나 증상이 없으며 체외로 이를 배출하고 있는 자
잠복기 보균자: 전염성 질환의 잠복기간 중에 병원체를 배출하는 자, 호흡기계 감염병
병후 보균자: 임상 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병원체를 배출하는 자, 소화기계 감염병

 

2-3. 면역 및 주요 감염병의 접종 시기

  • 선천적 면역: 종속 면역, 인종 면역, 개인 면역
  • 후천적 면역
    * 능동 면역
     - 자연 능동 면역: 감염병에 감염된 후 형성되는 면역
     - 인공 능동 면역: 예방접종을 통해 형성되는 면역

    * 수동 면역
     - 자연 수동면역: 모체로부터 태반이나 수유를 통해 형성되는 면역
     - 인공 수동면역: 항독소 등 인공 제제를 접종하여 형성되는 면역
  • 자연 능동 면역
    - 연구 면역: 홍역, 백일해,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콜레라, 페스트
    - 일시 면역: 디프테리아, 폐렴, 인플루엔자, 세균성 이질
  • 인공 능동 면역
    - 생균백신: 결핵, 홍역, 폴리오
    - 사균백신: 장티푸스, 콜레라, 백일해, 폴리오
    - 순화 독소: 파상풍, 디프테리아
주요 감염병의 접종 시기

결핵 
- 생후 1개월 이내
B형 간염
- 모체가 HBsAg 양성인 경우: 생후 12시간 이내
- 모체가 HBsAg 음성인 경우: 생후 1~2개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폴리오, 폐렴구균
- 1차: 생후 2개월
- 2차: 생후 4개월
- 3차: 생후 6개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 1차: 생후 12~15개월
- 2차: 만 4~6세
일본뇌염
- 생후 12~23개월
수두
- 생후 12~15개월

 

2-4. 검역

  • 감염병 유행지역에서 입국하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식품 등
  • 외국 질병의 국내 침입을 방지하여 국민의 건강을 유지, 보호
검역 감염병 및 감시기간

콜레라 - 120시간 (5일)
페스트 - 144시간 (6일)
황열 - 144시간 (6일)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 240시간 (10일)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 240시간 (10일)
신종인플루엔자 - 최대 잠복기

 

2-5. 법정감염병의 분류

  • 제1군 감염병: 마시는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고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감염병
    -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A형 간염
  • 제2군 감염병: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의 대상이 되는 감염병
    -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B형 간염, 일본뇌염, 수두,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 제3군 감염병: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감염병
    -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성홍열, 수막구균성 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탄저,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인플루엔자, 에이즈, 매독, 야콥병
  • 제4군 감염병: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감염병 또는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해외 유행 감염병
    - 페스트, 황열, 뎅기열, 바이러스성 출혈열, 두창, 보툴리눔 독소증, 사스,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야토병, 큐열, 웨스트나일열, 신종감염병 증후군, 라임병, 진드기매개뇌염, 유비저, 치쿤구니야열,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증후군, 중동호흡기증후군
  • 제5군 감염병: 기생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서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감시가 필요한 감염병
    - 회충증, 편충증, 요충증, 간흡충증, 폐흡충증, 장흡충증
  • 지정감염병: 제1군~제5군 감염병 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한 감염병
    - C형 간염, 수족구병, 임질, 클라미디아, 연성하감, 성기 단순포진, 첨규콘딜롬,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반코마이신 내성장 알균 감염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다제내성녹농균 감염증,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감염증, 카바페넴 내성장 내 세균 속 균종 감염증, 장관감염증, 급성 호흡기 감염증, 해외유입 기생충감염증,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 세계 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 두창, 폴리오, 신종인플루엔자, 콜레라, 폐렴형 페스트,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황열, 바이러스성 출혈열, 웨스트나일열
  • 인수공통 감염병: 동물과 사람 간에 서로 전파되는 감염병
    -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일본뇌염, 브루셀라증, 탄저, 공수병,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야콥병, 큐열, 결핵
  • 성매개 감염병: 성 접촉을 통하여 전파되는 감염병
    - 매독, 임칠, 클라미디아, 연성하감, 성기 단순포진, 첨규콘딜롬

 

2-6. 주요 감염병의 특징

  • 소화기계 감염병
    - 콜레라: 제1군 급성 법정감염병, 수인성 감염병으로 경구 전염
    - 장티푸스: 경구 침입 감염병, 파리에 의해 전파
    - 폴리오: 중추신경계 손상에 의한 영구 마비, 호흡기계 분비물, 분변 및 음식물 감염
  • 호흡기계 감염병
    - 디프테리아: 콧물, 인후 분비물, 피부 상처
    - 백일해: 호흡기 분비물,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
    - 조류독감: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와의 접촉
    -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사스):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에 의해 호흡기를 통해 감염
    - 신종 인플루엔자: 호흡기를 통해 감염
    - 결핵: 신체의 모든 부분에 침범
  • 동물 매개 감염병
    - 공수병(광견병): 개에게 물리면서 개의 타액으로 감염
    - 탄저: 양모, 모피공장에서 주로 감염(소, 말, 양)
    - 렙토스피라증: 들쥐의 배설물을 통해 주로 감염
  • 절지동물 매개 감염병
    - 페스트: 쥐, 벼룩으로 감염
    - 발진티푸스: 이로 감염
    - 말라리아: 모기로 감염
    - 쯔쯔가무시증: 들쥐 털진드기로 감염
    - 유행성 일본뇌염: 작은 빨간 집모기로 감염
매개체 별 감염병의 종류

모기 - 말라리아, 뇌염, 사상충, 황열, 뎅기열
파리 -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파라티푸스
바퀴벌레 -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진드기 - 신증후군출혈열, 쯔쯔가무시병
벼룩 - 페스트, 발진열, 재귀열
- 발진티푸스, 재귀열, 참호열
- 페스트, 살모넬라증, 발진열, 신증후군출혈열, 쯔쯔가무시병, 재귀열, 렙토스피라증
- 결핵, 탄저, 파상열, 살모넬라증
돼지 - 일본뇌염, 탄저, 렙토스피라증, 살모넬라증
- 큐열, 탄저
- 탄저, 살모넬라증
- 공수병(광견병), 톡소 프라스마 증
고양이 - 살모넬라증, 톡소 프라스마 증
토끼 - 야토병

 

2-7. 감염병의 신고 및 보고

  • 감염병의 신고
    의사나 한의사는 다음의 경우 소속 의료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하고, 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의사나 한의사는 관할 보건소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 신고 시기
    - 제1군~제4군 감염병: 즉시
    - 제5군 감염병 및 지정감염병: 7일 이내
  • 보건소장의 보고
    - 보건소장-> 관할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 보건복지부 장관 및 시·도지사
    - 제1군~제4군 감염병의 발생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의 보고: 신고를 받은 후 지체 없이
    - 제5군 감염병 및 지정감염병: 매주 1회

 

2-8. 기생충 질환 관리

  • 선충류: 소화기, 근육, 혈액 등에 기생
    * 회충
     - 소장에 기생
     - 음식물로 침입

    * 구충
     - 소장의 상부인 공장에 기생
     - 경구 감염 또는 경피 감염

    * 요충
     - 항문에 기생
     - 경구 감염

    * 편충
    - 대장에 기생
    - 경구 감염
  • 흡충류: 숙주의 간, 폐 등 기관 등에 흡착하여 기생
    * 간흡충
     - 간의 담도에 기생
     - 제1중간숙주: 왜우렁이
     - 제2중간숙주: 참붕어, 잉어, 중고기, 황어, 뱅어 등

    * 폐흡충
     - 폐에 기생
     - 제1중간숙주: 다슬기
     - 제2중간숙주: 가재, 게

    * 요꼬가와 흡충
     - 제1중간숙주: 다슬기
     - 제2중간숙주: 은어, 숭어 등
  • 조충류: 주로 숙주의 소화기관에 기생
    * 무구조충
     - 중간숙주: 소

    * 유구조충
     - 중간숙주: 돼지
     - 작은창자에 기생

    * 광절열두조충(긴촌충)
     - 돌창자에 기생
     - 제1중간숙주: 물벼룩
     - 제2중간숙주: 송어, 연어, 대구 등

 

3. 보건 일반 

3-1. 정신보건 및 가족 노인보건

  • 정신보건
    - 모든 정신질환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 가치 및 최적의 치료와 보호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다
    - 모든 정신질환자는 부당한 차별대우를 받지 않는다
    - 미성년자인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는 특별히 치료, 보호 및 필요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 입원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하여는 항상 자발적 입원이 권장되어야 한다
    - 입원 중인 정신질환자에게 가능한 한 자유로운 환경과 타인과의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보장되어야 한다
  • 정신질환자
    - 정신병, 인격장애, 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
  • 정신분열증
    - 양성 증상: 망각, 환각, 행동장애 등
    - 음성 증상: 무언어증, 무욕증 등
  • 신경증
    - 공황장애, 강박장애, 고소공포증, 폐소공포증 등
  • 가족 및 노인보건
    - 가족계획: 우생학적으로 우수하고 건강한 자녀 출산을 위한 계획
    - 초산 연령 조절, 출산 횟수 조절, 출산간격 조절, 출산 기간 조절
  • 노인보건
    - 노령화의 4대 문제: 빈곤문제, 건강문제, 무위문제, 고독 및 소외문제
    - 보건교육 방법: 개별접촉을 통한 교육

 

3-2. 환경보건

  • 환경보건의 개념
    - 환경위생: 구충, 구서, 방제, 음용수 수질관리, 미생물 등의 오염 방지
  • 기후
    - 기후의 3대 요소: 기온, 기습, 기류
    - 4대 온열인자: 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
    - 인간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와 습도: 18도, 습도 40~70%
    - 불쾌지수: 기온과 기습을 이용하여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불쾌지수가 70~75인 경우 약 10%, 75~80인 경우 약 50%, 80 이상인 경우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낌
  • 공기와 건강
    - 이산화탄소: 실내공기 오염의 지표로 사용,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된 원인, 공기 중 약 0.03% 차지
    - 산소: 산소량이 10%이면 호흡곤란, 7% 이하이면 질식사
    - 일산화탄소: 물체의 불완전 연소 시 많이 발생하며 중독 시 신경 이상증세를 나타냄
    - 질소: 감압병, 잠수병(모세혈관에 혈전 현상을 일으키는 것)
    - 군집독: 실내에 수용범위를 초과한 많은 사람이 있는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기온 상승, 습도 증가, 연소가스 등으로 인해 두통, 현기증, 구토, 불쾌감 등의 생리적 현상을 일으키는 것
  • 대기오염
    - 1차 오염물질: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불화수소, 알데히드
    - 2차 오염물질: 스모그, 오존, 질산과산화아세틸
  • 대기오염현상
    - 기온역전: 고도가 높은 곳에 기온이 하층부보다 높은 경우
    - 열섬현상: 도심 속의 온도가 대기오염 또는 인공열 등으로 인해 주변지역보다 높게 나타나는 현상
    - 온실효과: 복사열이 지구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아 지구가 더워지는 현상
    - 산성비: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등으로 인해 pH 5.6 이하의 비
  • 인체에 미치는 영향
    - 황산화물: 만성기관지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
    - 질소산화물: 기관지염, 호흡기계 질환
    - 일산화탄소: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 및 운반 저해, 생리기능 장애
    - 탄화수소: 폐기능 저하
    - 납: 신경 위축, 사지 경련 등 신경계통 손상
    - 수은: 단백뇨, 구내염, 피부염, 중추신경 장애
  • 수질오염지표
    - 용존산소: 물속에 녹아있는 유리 산소량, DO가 낮을수록 물의 오염도가 높음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하수 중의 유기물이 호기성 세균에 의하 산화,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
    - 화학적 산소요구량: 물속의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화학적으로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공장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 COD가 높을수록 오염도가 높음
  • 수질오염에 따른 건강장애
    - 미나마타병: 수은 중독, 언어장애, 청력장애, 사지마비 등
    - 이타이이타이병: 카드뮴 중독, 골연화증, 신장기능장애, 보행장애 등
  • 하수처리 과정
    예비처리-> 본 처리-> 오니 처리
  • 하수처리법
    - 호기성 처리법: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 성균이 유기물을 분해
    - 혐기성 처리법: 무산소 상태에서 혐기성균이 유기물을 분해
  • 상수처리과정
    취수-> 도수-> 정수(침사-> 침전-> 여과-> 소독)->송수-> 배수-> 급수
  • 경수
    - 일시 경수: 물을 끓일 때 경도가 저하되어 연화되는 물(탄산염, 중탄산염 등)
    - 영구 경수: 물을 끓일 때 경도의 변화가 없는 물(황산염, 질산염, 염화염 등)
  • 주거환경
    - 적정 실내온도: 18도
    - 적정 침실 온도: 15도
    - 적정 실내 습도: 40~70%
    - 적정 실내외 온도차: 5~7도
    - 10도 이하: 난방 필요
    - 26도 이상: 냉방 필요
적정 조명

초정밀 작업 - 750 Lux 이상
정밀 작업 - 300 Lux 이상
보통 작업 - 150 Lux 이상
기타 작업 - 75 Lux 이상

 

3-3. 산업보건

  • 산업 피로: 정신적, 육체적, 신경적 노동의 부하로 인해 충분한 휴식을 가졌는데도 회복되지 않는 피로
  • 산업재해
    - 인적 요인: 관리상, 생리적, 심리적 원인
    - 환경적 요인: 시설 및 공구 불량, 재료 및 취급품의 부족, 작업장 환경 불량, 휴식시간 부족
  • 직업병
    - 고열, 고온: 열경련증, 열허탈증, 열사병, 열 쇠약증, 열중증 등
    - 이상저온: 전신 저체온, 동상, 참호족, 침수족 등
    - 이상 기압: 감압병, 이상 저압
    - 방사선: 조혈 지능장애, 백혈병, 생식기능장애, 정신장애, 탈모, 피부 건조, 수명 단축, 백내장 등
    - 진동: 레이노드 병
    - 분진: 허파 먼지증, 규폐증, 석면폐증
    - 불량 조명: 안정피로, 근시, 안구진탕증
  • 공업 중독
    - 납중독: 빈혈, 권태, 신경마비, 뇌 중독증상, 체중감소, 헤모글로빈 양 감소
    - 수은중독: 두통, 구토, 설사, 피로감, 기억력 감퇴, 치은 괴사, 구내염 등
    - 카드뮴 중독: 당뇨병, 신장기능장애, 폐기종, 오심, 구토, 복통, 급성폐렴 등
    - 크롬중독: 비염, 기관지염, 인두염, 피부염 등
    - 벤젠 중독, 두통, 구토, 이명, 현기증, 조혈기능장애, 백혈병 등

 

4. 식품위생과 영양

4-1. 식품위생의 개념

  • 식품위생의 정의
    식품위생이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에 관한 위생을 말한다

 

4-2. 식중독

  • 식중독의 정의
    식품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질환 또는 독소형 질환
식중독의 분류

세균성 
- 감염형: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병원성 대장균
- 독소형: 포도상구균, 보툴리누스균, 웰치균 등
- 기타: 장구균, 알레르기성 식중독, 노로 바이러스 등
자연독
- 식물성: 버섯 독, 감자 중독, 맥각균 중독, 곰팡이류 중독 등
- 동물성: 복어 식중독, 조개류 식중독 등
곰팡이독
- 황변미독, 아플라톡신, 루브라톡신 등
화학물질
불량 첨가물, 유독물질, 유해금속물질

 

4-3. 영양소

  • 영양소의 분류(5대 영양소)
    - 열량소: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 조절소: 비타민, 무기질
  • 영양소의 3대 작용
    - 신체의 열량 공급 작용: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 신체의 조직 구성 작용: 단백질, 무기질, 물
    - 신체의 생리기능 조절 작용: 비타민, 무기질, 물
  • 영양장애
    - 결핍증: 필요 영양소의 결핍으로 발생되는 병적 상태
    - 저영양: 영양 섭취가 부족한 상태
    - 영양실조증: 영양소의 공급이 질적 및 양적으로 부족한 불건강 상태
    - 기아상태: 저 영양과 영양실 조증이 함께 발생된 상태
    - 비만증: 체지방의 이상 축적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