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전공이론

[공중보건학] #9 특수 정수법

썸네일
썸네일

전공이론 공중보건학 특수 정수법 정리

1. 특수정수법
 1-1. 경수연화법
 1-2. 조류제거법
 1-3. 철 및 망간 제거법
 1-4. 불소 주입
2. 수영장과 공중목욕탕
 2-1. 자연 수영장
 2-2. 인공 수영장
 2-3. 공공 욕장 위생

1. 특수 정수법

 1-1. 경수연화법

  일반적으로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탄산염, 황산염의 형태로 수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을 때에 이런 물을 경수라고 한다. 경수의 특징은 피부를 거칠게 하는 원인이 되며, 비누거품형성력이 떨어지고 보일러 파이프에 결석을 만들어 돌발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경수를 연수로 만들어 사용한다. 끓여서 연화되는 물을일시 경수, 끓여도 연화되지 않는 물을 영구 경수라 한다.

 

 

1-2. 조류제거법

 조류 현상은 유수보다 정체수에서 더욱 빈번하며 부영양호에서 잘 일어난다. 조류가 많이 발생하면 여과막이 막히므로 수원지에서 미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조류제거에는 황산동이나 염소 등이 사용되는데 조류의 종류나 발생량에 따라 다르나 허용농도는 0.6~1.2mg/L이 적당하다.

 

 

1-3. 철 및 망간 제거법

 철분을 함유한 물은 세탁 시 옷에 물이 들고, 음료수로서 맛이 나쁘며, 공업용수로서도 부적당하다. 철분은 침전, 여과로도 제거되지만 폭기를 하면, 용해성 철분은 수산화제이철이 되어 응괴를 형성, 침전되며 여과에 의해서도 제거된다.

 망간의 제거도 폭기법이 이용되지만 효과가 철분만큼 높지 않으므로 과망간산칼륨의 주입에 의한 산화법, 망간 zeolite 법,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한 교화 처리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1-4. 불소 주입

 치아 형성기의 어린이에게 불소를 함유한 상수를 공급한 경우 우식치(충치)가 60~65%나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불소가 없는 물의 장기적 음용은 우식치가 될 수 있으나, 과량의 불소 함유수를 장기간 음용하면 반상치(쪼개지는 치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수영장과 공중목욕탕

 다수인이 사용하는 수영장과 공중목욕탕은 각종 수인성 질환, 안과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피부질환 등의 감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 위생관리와 안전관리가 중요하다.

 

2-1. 자연 수영장

 자연 수영장의 오염요인은 분뇨 투기, 생활하수 유입, 공장 오폐수, 가축 분뇨, 수영장 욕객의 과밀 수영에 의한 오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자연수영장의 등급은 100mL당 대장균 수로 정하는데 1,00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일반 세균수는 200/mL 이상이면 부적합하다.

A급 : 0~50 이하
B급 : 51~500
C급 : 501~1,000
D급 : 1,000 이상

 

 

2-2. 인공 수영장

 인공 수영장의 오염원인은 하천수나 해수 등의 사용수 자체의 오염, 공사장이나 공장지대 또는 교통기관으로부터의 분진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한 오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욕 중에 소변이나 분비물, 수영복에 부착된 물질에 의한 입욕자에 의한 오염이 있다.

우리나라 수영장 욕수의 수질기준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3조)
항목 수질 기준
유리잔류염소량 0.4~1.0mg/L
수소이온농도 pH 5.8~8.6
탁도 2.8 NTU 이하(5도 이하)
과망간산칼륨소비량 12mg/L 이하
대장균군 10mL들이 시험대상 욕수 5개 중 음성이 3개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2-3. 공공 욕장 위생

 공공 욕장에는 목욕탕이나 사우나, 온천 등이 있으며 안질, 피부병, 성병 등이 감염될 수 있다. 입욕 인원의 증가에 따라 탁도,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대장균 등이 증가하며 탈의실의 불결로 인해 질병의 전파도 발생할 수 있다.

  • 원수의 수질기준은 온도 42도, pH 5.8~8.6 이하, 탁도 1 NTU 이하(2도 이하),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10mg/L 이하, 총대장균은 100mL 중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 욕조수의 수질기준은 탁도 1.6 NTU 이하,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은 25mg/L 이하, 대장균 1개/50mL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 온천은 지하에서 솟아나는 25도 이상의 온수와 광천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34~42도이며, 고온 온천은 42도 이상이다.